|
Field Emission Behavior of DLC Films |
|
|
소 개 진공 초미세 소자를 이용한 분야는 1958년 Buck과 Shoulder에 의해 최초로 제시된 이후 반도체 공정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매우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Field Emission을 이용한 전계방출 소자는 종래의 고체소자에 비해 낮은 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므로 초고속 스위치 소자, 초고주파용 증폭기, 다중 전자 방출원, 전자빔 리쏘그래비 장비의 전자총, 고화질 TV를 위한 평판 디스플레이소자 이외에도 많은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Field emission 을 이용한 응용분야 중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 시장이다. TV, 컴퓨터 모니터, 등 많은 주요한 디스플레이 방법에는 CRT(Cathode Ray Tube)가 있다.
Condenscent 사에서 만든 5.3inch Thin CRT시제품과 13.2inch 데모 FED 소자는 주로 반도체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공정기술이 안정화 단계에 이른 실리콘이나 몰리브데늄을 가지고 소자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들 재료는 높은 일함수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전계방출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날카로운 팁의 형태로 만들어 음극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음극팁을 사용하는 경우 잔류가스에 의해 역스퍼터링이 일어나거나 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자방출 성능이 점차 저하되는 등 소자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몰리브데늄에 다른 물질을 코팅하거나 대체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카본계열 즉, 다이아몬드 또는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에 대한 분야이다. 카본계열의 전계방출 현상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다이아몬드의 음의 전자친화도 특성으로부터 시작하였다.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을 포함한 카본계 음극물질들은 음의 전자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낮은 전기장에서도 쉽게 전계방출이 일어나며 따라서 실리콘이나 몰리브데늄 처럼 팁의 형태로 소자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실리콘 이나 몰리브데늄 팁에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을 코팅하여 전계방출 특성을 조사하는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처럼 카본계 물질을 코팅하면 전계방출 거동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높은 전기전도도와 전계방출에 용이한 기하학적 모양을 지닌 카본 나노튜브가 발견됨에 의해 이를 전계방출에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음의 전자친화도 또는 다른 이유에서든 카본계열의 물질을 전계방출을 이용한 소자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전계방출이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카본계열의 전계방출을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메커니즘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1. 소 개 |
Written by Seung-Hyeob Lee
Last updated : 2001.6.18. |